[IT 및 보안] 💻/[IT 및 보안] 보고서 📋

[KISA]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2023년 하반기)

제나나 2024. 2. 10. 18:12
반응형

[KISA]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2023년 하반기)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발간한 보고서



Part.1 사이버 위협 동향


1-1. 침해사고 현황

 

1-2. IoT 봇넷 위협 동향

  - IP 카메라용 DKR(Digital Video Recorder) 제품으로 미라이(Mirai) 악성코드 전파 및 DDoS 공격 시도가 탐지되고 있음.

  - 9월부터 퍼이고 새로운 DDoS 네트워크가 발견, 일일 감연단말 IP 수는 일 평균 22개씩 누적되어 최대 1천 8백여 개 

  - 대부분의 CPU 아키텍처에 영향을 미치고, 악성코드가 설치되도록 스크립트 파일 형태로 배포

* 네트워크 공격방식 : 킬러 모듈을 이용해 SSH, HTTP 등 같은 서비스 종료시켜 IoT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들고, 감염여부를 숨기기 위해 프로세스 이름을 sshd로 변경, 메모리에 복호화된 데이터가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 데이터를 다시 암호화하는 과정 추가.

 

1-3. 보안취약점 및 신고포상제 동향

 

1-4. 라자루스(Lazarus) 공격 그룹의 특징 및 전망

 


Part.2 전문가 컬럼


2-1. 이글루코퍼레이션 김미희 팀장

     :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랜섬웨어(Cl0p) 공격, MOVEit Transfer

 

 

2-2. 안랩 ASEC 분석팀

     : 사용자가 많은 MS 문서를 악요하는 악성코드 유포 방식의 변화 (MS Office 문서 악성코드 사라지고 CHM, LNK 유포 증가)

  * CHM : 윈도우 도움말 파일, LNK : 바로가기 파일 - 파워쉘, CMD 실행해 악의적 쉘 명령어 실행가능


Part.3 기술 보고서


3-1. KISA 침해사고분석단 종합분석팀 김동욱, 이슬기 

     : TTPs #10 : Operation GoldGoblin

      - 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해 선별적으로 침투하는 공격전략 분석

 

3-2. KISA 침해사고분석단 취약점분석팀 이동은, 전지수

     : 정부 보고서 위장 MS워드 제로데이 취약점 상세 분석

 

3-3. KISA 침해사고분석단 취약점분석팀 박지희, 이동은

     : MS Outlook 권한 상승 제로데이 취약점 (CVE-2023-23397) 상세분석


2023년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pdf
7.72MB

 

https://www.boho.or.kr/kr/bbs/view.do?searchCnd=&bbsId=B0000127&searchWrd=&menuNo=205021&pageIndex=1&categoryCode=&nttId=71295

 

KISA 보호나라&KrCERT/CC

KISA 보호나라&KrCERT/CC

www.boho.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