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인터넷진흥원)에서 매년 발행하는 국가정보보호백서 2021년 판이다.
국가정보보호백서 구성과 특징, 그리고 링크 주소 내용을 담았다.
![](https://blog.kakaocdn.net/dn/cQMnzt/btraCSZE68c/Lt7ndhkIfqkpZfeScJ2Tg0/img.png)
2021 국가정보보호 백서는 <서두>·<본문>·<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2020년 정보보호와 관련된 주요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보호 연혁’과 ‘2020년 정보보호 10대 이슈’를 <서두>로 하였다. ‘정보보호 연혁’은 최근까지의 중요한 정책, 입법 및 사건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2020년 정보보호 10대 이슈’는 2020년 주요 언론 매체 및 유관 기관에서 발표한 정보보호 관련 이슈를 바탕으로 정보보호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선정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본문> 중 제1편 ‘정보보호 환경 변화 및 사이버위협 동향’에서는 우리나라 정보보호 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른 사이버 공격 및 위협의 변화를 다루었다.
제2편 ‘정보보호 법·제도 및 기관’에서는 정보보호 담당 기관과 법·제도를 다루었다. 정보보호 법·제도는 정보보호 법·제도 발전 과정, 분야별 정보보호 법·제도와 2020년 주요 제·개정 법령을 작성하였으며, 정보보호 담당기관은 국가 기관과 전문기관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제3편 ‘분야별 정보보호 활동’에서는 국가정보통신망, 전자정부,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정보통신서비스, 금융서비스 등 주요 분야별로 정보보호 정책과 제도 및 활동 등을 상세하게 다루었다.
제1장 ‘국가정보통신망 보호’에서는 사이버공격 탐지·차단, 사고조사 및 정보공유, 보안진단 및 관리실태 평가, 보안 적합성 검증, 암호모듈 검증, 정보보호제품 평가·인증 등을 소개하였다.
제2장 ‘전자정부’에서는 전자정부 보호,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전자서명 인증 등을 소개 하였다.
제3장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에서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 추진체계와 주요 활동 등을 소개하였다.
제4장 ‘정보통신서비스’에서는 침해사고 대응과 예방, 정보보호 관련 제도 평가 등을 소개 하였다.
제5장 ‘금융서비스’에서는 금융보안 정책 및 보안관제 및 정보보호 공유 체계 구축·운영, 취약점 분석·평가, 보안 점검 지원 등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제4편 ‘정보보호 기반조성’에서는 정보보호산업 육성, 정보보호 기술 개발, 정보보호 인력 양성 분야는 물론 개인정보보호, 국제협력 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제1장 ‘정보보호산업 육성’에서는 정보보호산업 현황과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소개하였다.
제2장 ‘정보보호 기술 개발’에서는 원천기술 개발 현황과 상용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하였다.
제3장 ‘정보보호 인력 양성’에서는 정규교육과정 및 전문기관 기타 교육과정에 의한 인력 양성, 정보보호 자격증 제도 등을 소개하였다.
제4장 ‘개인정보보호’에서는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그 동안 추진한 정책 등을 소개하였다.
제5장 ‘대국민 정보보호’에서는 정보보호 상담과 처리, 인식제고 활동 등을 소개하였다.
제6장 ‘국제협력’에서는 사이버보안과 관련한 국제협력 활동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부록>에서는 우리나라의 정보보호 수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하여 획득한 통계 자료를 국가·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제공하였다. 또한 2020년 주요 정보보호 행사, 국내 정보보호 관련 주요 사이트, 정보보호 관련 민간단체, 국내 ISAC 현황 등을 소개하였다.
링크 주소: https://www.kisa.or.kr/public/library/etc_View.jsp?regno=0238&searchType=&searchKeyword=정보보호백서&pageInde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