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치파일(Batch File) 활용하기 8 : 컴퓨터 정보 백업하기 - PC이름/IP정보 회사 내에서 PC명과 IP가 지정되어 있을 때, 해당 정보의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환경변수(컴퓨터이름), 네트워크명령어를 통해서 추출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코드를 실행하게 된다면, 1. 파일 생성 (set) set pcInfo=C:\Users\%username%\Desktop\Backup\PC_into.txt 바탕화면의 Backup 폴더로 PC_info.txt 파일이 만들어지면서 저장이 된다. 2. 생성된 파일에 내용 추가 (echo, >>) echo 명령어는 해당문자를 출력하게 하도록한다. 1) echo 명령어와 '>'면 기존파일이 존재하면 덮어쓴다. 2) echo 명령어와 '>>'면..
WMIC ( 윈도우 관리 도구 )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윈도우 관리 도구(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MI)는 인스트루먼테이션된 구성 요소들이 정보과 알림을 제공함을 통해 운영 체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윈도우 드라이버 모델의 확장 집합을 이룬다. WMI는 마이크로소프트의 WBEM과 CIM 표준(DMTF)의 구현체이다. WMI는 VB스크립트나 윈도우 파워셸과 같은 스크립트 언어들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개인용 컴퓨터와 서버들을 로컬이나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WMI는 윈도우 2000 이상의 마이크로소프트 운영 체제에 미리 설치되어 있다. 윈도우 NT, 윈도우 95, 윈도우 98용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명령 줄..
배치파일(Batch File) 활용하기 8 : 컴퓨터 시작 시 프로그램 자동 실행되도록 하기 회사를 출근하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사이트들이 있을 때 (예, 출퇴근 체크 등) 컴퓨터를 켜자마자 자동으로 실해되도록 자동화하는 방법이다. 컴퓨터 시작 시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bat 파일을 실행되도독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 사용하는 명령어 : start start 명령어 : 지정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는 별도 명령 프롬프트 창을 시작합니다. * 설명 : 파일 이름을 명령으로 입력하여 파일 연결을 통해 실행 파일이 아닌 파일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1. 프로그램 실행 - 계산기 실행하기 : start calc 2. 웹 사이트 실행 - 네이버 실행하기 : start http:/..
윈도우 관련 명령어들 - exe, cpl, msc, guid, shell 컴퓨터를 운영하다보면 GUI로 하나하나 찾아서 들어가는 방법도 있지만 매번 하는 작업은 쉽게 자동화하거나 빠르게 필요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때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우 관련 명령어들 모음이다. 1. 기본 프로그램명으로 실행가능 할때 : OS 기본으로 지정된 것으로 프로그램 명으로 해당 파일 실행이 가능하다. (사실 확장자는 exe이다) 1) 시작-검색, 2) 실행(윈도우+R키), 3) cmd에서 실행가능 * 추가로, 단순 실행 파일이라면C:\Windows\System32 폴더에 집어 넣으면, 시작 - 실행에 해당파일 이름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notepad++ 실행파일을 해..
링크 주소 : https://www.krcert.or.kr/data/reportView.do?bulletin_writing_sequence=36146 KISA 인터넷 보호나라&KrCERT KISA 인터넷 보호나라&KrCERT www.boho.or.kr 제1장. Trend - 2021 상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1. 국내외 사이버 위협 동향 2. 취약점 동향 제2장. Special Issue - 랜섬웨어 1. (주)플레인비트 김진국 대표 : 최근 랜섬웨어 특징 및 공격기법 분석, 대응전략 2. KISA 침해사고분석단 사고분석팀 : 최근 기업 대상 랜섬웨어 사고사례 분석 3. (주)안랩 박태환 팀장 & (주)이스트시큐리티 문종현 센터장 : 주요 랜섬웨어 악성코드 분석 제3장. HowTo - 전문가 컬럼 1. ..
데이터 3법 1) 개인정보보호법 2) 정보통신망법 3) 신용정보법 이글은 2021년에 작성되었다. 법의 경우 매번 갱신되고 더 최신 사항이 반영되기 때문에 이글을 2021년 이후에 본다면 다시 찾아 보아야한다... 데이터 3법이란, 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개정안을 일컫는 말로, 이 3법 개정안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이 소관 부처별로 나뉘어 있어 발생하는 중복 규제를 없애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맞춰 개인과 기업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폭을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신용정보법(신용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일컫는 것으로 빅데이터 3법, 데이터경제 3법이라고도 부른다. 이 3법은 2018년 11..
배치파일 활용하기7 - 네트워크 설정하기 : 고정IP 및 DNS 설정하는 배치파일 회사에서는 내부망을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지정된 IP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고정된 IP와 DNS를 사용해야한다. IP설정을 위해서 일일이 찾아 들어가서 바꾸는 것보다 한번에 설정가능하도록 바꾸는 명령어 및 배치파일이다. [고정 IP / DNS 설정 명령어] 1. 고정 IP설정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네트워크이름 static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주소 예)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이더넷" static 192.168.1.100 255.255.255.0 192.168.1.2 2. 고정 DNS설정 - 주 DNS Netsh i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