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tner Top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22 - 가트너 2022년 전략 기술 트랜드 신뢰 구축(Engineering Trust) 부문 Trend 1: Data Fabric (데이터 섬유) - 데이터가 필요한 곳 어디에서든 데이터를 사용할수 있도록 함. Trend 2: Cybersecurity Mesh (사이버보안 그물망) - 데이터가 필요한 곳 어디에서든 데이터를 사용할수 있도록 함. Trend 3: Privacy-Enhancing Computation (개인정보보호 강화 컴퓨팅) Trend 4: Cloud-Native Platforms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 변화 형성(Sculpting Change) 부문 Trend 5: Composable Applica..
2022년 디지털금융 및 사이버보안 이슈 전망 - 금융보안원 금융보안원에서 배포한 2022년 디지털금융 및 사이버보안 이슈 전망입니다. 01. 사이버공격의 대유행, 디지털 팬데믹(Digital Pandemic)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세계적 대유행)’에 이어,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에 의한 “디지털 팬데믹(Digital Pandemic)”과 그로 인한 금융위기 발생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어 금융업권의 전방위적 준비와 대응이 필요 02. 디지털 전환 시대, 새로운 금융보안 규제 금융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글로벌 금융보안 규제도 디지털.IT.운영 리스크 관리를 중심으로 변화 중. 국내에서도 금융보안 7대 원칙 등의 내용을 담은 「전자금융거래법」개정이 추진되고 있어 ..
’21년 사이버위협 분석 및 ’22년 전망 분석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1년 사이버위협 분석] 일상을 파고드는 사이버 위협 ▲ 대상을 가리지 않는 금품 요구 악성프로그램(랜섬웨어) 공격 해외 사례 ☞ 미국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사건 (5월) - 미국 최대 송유관 기업의 시스템이 마비되어 송유관 가동이 6일간 전면 중단 ☞ 미국 육가공업체(JBS) 사건 (5월) - JBS의 미국지사에 대한 공격으로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공장 가동 중단 ▲ 해커의 타겟이 된 비대면 서비스 환경 - VPN 솔류션의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사고 증가 주요 사례 ☞ 글로벌 보안업체 소닉월은 자사 원격 보안접속 프로그램 취약점으로 인해 자사가 해킹 당하는 피해 발생(1월) ☞ MS 익스체인지 서버(이메일 관련 솔루션)의 취약..
기사 한줄요약(22.2.18.): 최근 실험 결과에 따르면, AI로 합성한 얼굴이 평균에 더 가까워 실제 이미지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이미지로 판별되기때문에 합성여부 판별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결과를 통해 향후 딥페이크 같은 AI 기술을 악용하는 상황에 대해 보호 방안이 필요하다고합니다. 남혁우, "얼굴 사진 AI 합성 여부 구별하기 사실상 불가능", ZDNet Korea, https://zdnet.co.kr/view/?no=20220217093453#_enliple "얼굴 사진 AI 합성 여부 구별하기 사실상 불가능" 인간의 눈으로는 인공지능(AI)이 만든 합성 얼굴에 대해 그게 실제 사람 얼굴인지 가짜 얼굴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에 따라 가짜 얼굴을 실제... zdnet..
기사 한줄요약(22.2.17.): CTI기업 Talon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일 발생했던 클레이스왑 해킹 사건의 전말은 BGP Hijacking으로 BGP 프로토콜이 신뢰도를 고려하지 않고 가장 빠른 경로만 따라간다는 특성을 활용하여 해커가 원하는 방향으로 네트워크 흐름을 바꾼 공격이였다. 국내에서는 아직 대비가 잘 되어있지 않아 추후 재발 방지에 힘써야 한다고 한다. 권준, "클레이스왑 해킹으로 드러난 BGP Hijacking 공격기법", 도대체 뭐길래?, 보안뉴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04743 클레이스왑 해킹으로 드러난 BGP Hijacking 공격기법, 도대체 뭐길래? 지난 2월 3일 국내 최대 규모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
기사 한줄요약(22.2.16.): 최근 메타버스 내에서 '퍼스널 바운더리*' 규제 도입과 부동산 투자가 이루어 지는 것을 통해 메타버스가 단순히 기술적으로 가상의 세계를 창조한 것이 아니라 현실을 재현한 공간으로 발전한다고 볼수 있기 때문에 향후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수 많은 문제들이 메타버스 상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궁극적으로는 문자 그대로 초월적인 세계를 뜻하는 완전한 메타버스는 없을 수 있다. * 퍼스널 바운더리(personal boundary) : 메타(구 페이스북)의 메타버스 플랫폼 호라이즌 월드에서 아바타 사이의 거리가 최소 1.2m는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이버상 성범죄를 막기 위한 규제이다 양영권, "메타버스는 없다[광화문]",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
기사 한줄요약(22.2.15.): 개인적으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발생하는 학생들 간의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신기술인 메타버스를 활용해 365일 • 24시간 무료 독서실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대학생을 통해 메타버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볼수 있었다. 김성현, "코로나 수험생, 메타버스서 교육 격차 메웠다", ZDnet, https://zdnet.co.kr/view/?no=20220214151258#_enliple 코로나 수험생, 메타버스서 교육 격차 메웠다 2년 전 석효주씨(20)는 고3 수험생이었다. 그 꼬리표만으로도 발걸음이 무겁던 당시, 코로나19까지 석씨 어깨를 짓눌렀다. 동네 도서관, 독서실 모두 문을 닫았다. 스터디... zdnet.co.kr - 메타버스 플랫폼 중 캠과 음성 인식 가능한 게..
기사 한줄요약(22.2.14.): 컨테이너 기반의 쿠버네티스는 전세계 조직의 96%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거나 채택하는 것을 검토중에 있으며, 기술적으로는 아직 완전히 성숙되지는 못하였으나 계속 발전하고 성장하고 있다. 김우용, 쿠버네티스·컨테이너, 전세계 조직 96%가 쓴다, ZDnet 코리아, https://zdnet.co.kr/view/?no=20220214092819#_enliple 쿠버네티스·컨테이너, 전세계 조직 96%가 쓴다 쿠버테티스와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하는 기업의 비율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11일 미국 지디넷에 따르면, 클라우드네이티브컴퓨팅파운데이션(CNCF)은 최근 발표한 '... zdnet.co.kr - 슬레시데이터에 따르면 560만 개발자가 사용중 (백엔드 31%) - 매니지드 ..